코딩을 하다 보면, 리스트에 있는 데이터의 수만큼 for문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은데요, 데이터 항목의 길이를 구하는 len() 함수를 이용하면 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
list1 = [15, 34, 64, 37, 83, 25, 62, 98, 46]
먼저, 위와 같이 9개의 숫자 데이터를 담고 있는 list1 가 있고, 이 리스트 안에 있는 값을 차례로 출력하고 싶다면 for문을 사용하면 되는데요, 이때 for문에는 반복할 범위(range)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.
9번을 반복하면 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도 되지만, 데이터가 너무 많아 그 길이를 알 수 없을 수 있습니다.
for i in range(9) :
print(list1[i])
따라서 len() 함수를 이용하면 되는데요,
len() 함수는 데이터의 길이를 반환하는 함수로, len(list1)이라고 입력한 뒤 실행하면 '9' 라는 정수값이 반환됩니다.
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for문을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.
for i in range(len(list1)) :
print(list1[i])
range(len(list1)) 은 range(9) 와 같은 것으로, 같은 결과가 출력된답니다.
'BLOG > 파이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] 딕셔너리를 요소로 갖는 리스트, 동일한 key를 기준으로 정렬하려면? - sort() (0) | 2021.03.04 |
---|---|
[파이썬] 딕셔너리 : key로 value 값을 찾으려면? (0) | 2021.03.04 |
[파이썬] 문자열 모두 소문자 or 대문자로 바꾸는 방법 - lower, upper (0) | 2021.03.04 |
[파이썬] 반올림 / 올림 / 버림 자릿수 지정 - round, ceil, trunc (0) | 2021.03.04 |
[파이썬] 반올림 / 올림 / 버림 함수 - round, ceil, trunc (0) | 2021.03.04 |